티스토리 뷰

판관비를 직접비와 간접비로 분류해야 하는데요..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. 직접비: 급여, 퇴충,복리후생비,4대보험료,여비교통비, 차량유지비,보험료, 운반비,인쇄비,사무용품비,통신비 간접비: 지급임차료, 감가상각비, 접대비,수도광열비


안녕하십니까? 귀 질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. 1. 직접비와 간접비는 제조원가 계산시 적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판매비와 관리비는 이를 구분하지 않습니다. 2. 따라서 판매비와관리비를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하는 기준은 없습니다.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♣ 제조직접비와 제조간접비 1) 제조직접비 재료비, 노무비, 경비의 발생금액이 각각의 제품 종류별로 그 구분이 분명한 경우에는 각 제품 종류별로 분류하여 집계한다. 이와 같이 재료비, 노무비, 경비의 발생이 각 제품종류별로 그 구분이 분명하여 각각의 제품 종류별로 분류 하는 경비를 제조직접비라 한다. 제조경비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제조간접비에 해당한다. 2) 제조간접비 두 가지 종류 이상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원가가 있으며, 각 제품별 투입 원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. 즉, 공장건물 및 기계장치의 감가상각비, 전력비 등은 제품 종류별로 그 원가를 구분하여 기록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원가를 제조간접비(공통원가)라고 한다. 예를 들어 하나의 생산 공장에서 마우스와 키보드를 생산하는 기업의 경우 마우스와 키보드의 생산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, 마우스 및 키보드의 생산에 소비되는 재료는 이를 구분하여 계산할 수 있으나 공통으로 사용되는 전력비는 제품별로 직접 계산할 수 없으며, 이러한 공통비를 제조간접비라 한다. 제조간접비는 전부‘제조간접비’과목으로 집계한 다음 일정 기준에 의하여 각 제품별로 나누어 주어야 하며, 제조간접비를 각 제품별로 나누어주는 것을 배부라고 한다. ■ 제조간접비 종류 여러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재료비, 노무비, 경비 등이 공통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, 이들 비용을 간접재료비, 간접노무비, 간접경비라 한다. 재료비 및 노무비의 경우 특정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직접 소요비용을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 직접비의 경우가 대부분이나 경비의 경우에는 각각의 제품별로 그 사용금액을 추적하기 어려우므로 제조간접비에 해당하는 비용이 많으며, 감가상각비, 공장의 임차료, 전력비, 보험료 등은 대표적인 제조간접비에 해당한다. ■ 제조간접비 배부 제조간접비를 각 제품에 배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준에는 직접재료비, 직접 노무비, 작업노동시간, 작업기계시간 등이 있으며, 생산방식에 따라 합리적인 배부기준을 정한다. 예를 들어 생산방식이 노동집약적인 경우에는 직접노무비 와 작업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고 생산원가의 대부분이 재료비인 경우에는 직접재료비를 기준으로 배부한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