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기 결산 중 손익계산서 및 제조원가 명세서, 대차대조표 결산 방법 문의. 결산에서 제조원가명세 및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던 중 의문사항이 있어 문의 합니다.(1항~6항까지 회사에서 출금한 계정 항목으로 2008년 1월 부터 6월까지 출금한 금액임) 1. 유동부채


안녕하십니까? 귀 질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. 반기 결산 중 손익계산서 및 제조원가 명세서, 대차대조표 결산 방법 결산에서 제조원가명세 및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던 중 의문사항이 있어 문의 합니다.(1항~6항까지 회사에서 출금한 계정 항목으로 2008년 1월 부터 6월까지 출금한 금액임) 1. 유동부채-> 예수금 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갑,주민세 등(본인 부담 분) 납부액 6월말 현재 예수금 잔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하여야 합니다. 2. 유동부채-> 외상매입금 : 원재료 외상 매입 거래처 결제금액 6월말 현재 외상매입금 잔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하여야 합니다. 3. 유동부채-> 미지급금 : 직원 연말정산 환급금액 6월말 현재 미지급금 잔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하여야 합니다. 4. 고정부채-> 단기 차입급 : 1월 은행 차입금을 6월 상환한 금액 6월말 현재 단기차입금 잔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하여야 합니다. 5. 고장부채-> 장기 차입금 : 2년 전 차입한 금액을 6월 상환한 금액 6월말 현재 장기차입금 잔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하여야 합니다. 6. 당좌자산-> 부가세대급금 : 부가가치세 전년도 4/4분기 납부액 및 1/4분기 납부액 6월말 현재 부가세대급금 잔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하여야 합니다. 질문1) 출금전표를 가지고 결산 절차에 의해 수기로 결산을 하고 있는데 1항에서 6항까지의 계정이 손익계산서 또는 제조원가명세서 의 항목에 포함 여부? 니면 대체대조표 계정으로 어떻게 기입해야 하는지 궁급합니다. [답변] 대차대조표는 결산일 현재의 자산, 부채, 자본을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작성하는 재산목록표로 부채, 자산은 손익계산서 또는 제조원가명세서 작성항목이 아닙니다. 질문2) 상기 1항에서 6항까지 계정 분류가 맞는지? 틀리면 어떤 부분이 틀린지? [답변] 2007년 이후 고정이란 용어는 비유동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고정부채 → 비유동부채 고정자산 → 비유동자산 질문3) 상기 1항에서 6항까지는 출금전표 계정과목이 이렇게 나타나는데 이 출금한 계정은 손익계산서 항목 또는 제조원가 명세서 항목에 포함 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는 것인지 궁금하며, 틀리면 어떻게 어떤 부분으로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. [답변]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의 작성은 회계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충분한 경우 작성할 수 있는 것으로 참고자료를 메일로 보내드렸습니다.

댓글